본문 바로가기

K패스 교통카드 신청방법과(기후동행카드, 경기패스, 인천I-패스)비교

Piehome 2024. 4. 29.

K패스 교통카드 신청 비교

최근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교통카드가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K-패스는 대충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의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어 주목받고 있는 카드입니다.

K패스 알아보기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한 달 최대 60회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 이는 일반인 기준으로 월 최대 1만 8천원의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셈입니다.

대중교통수단

  • 전국 시내버스, 마을버스
  • 지하철
  • 광역버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K패스 신청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들은 5월 1일부터 alcard.kr를 통해서 전환 신청 후 사용이 가능합니다.

  • k-패스 회원전환 시 기존 알뜰교통카드 계정과 카드 그대로 이용 가능하며,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6월 30일까지 회원전환이 가능합니다.

신규 카드발급은 alcard.kr 홈페이지 카드사 링크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신규로 발급받은 K패스 카드는 5월 1일 이후 홈페이지 및 앱에서 회원가입 시 이용 가능합니다.

카드사마다 제공하는 추가 할인 서비스와 연회비가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후동행카드, 경기패스, 인천 I패스 비교


기후동행카드

서울시에서는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서울 시내 전철, 버스, 따릉이를 월 6만 2천원(따릉이 포함 시 6만5천원)에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 형태의 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기패스

경기패스일 경우 K패스와 비슷하지만, 지원기준이 15회 이상이면 무제한으로 지원이 가능하며 6세~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간 최대 24만원의 교통비를 지원하는 방식이 특징입니다.

인천I패스

마지막으로 인천 I패스 일 경우 6세~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간 최대 12만원을 지원하고, 추가로 65세 이상이면 30% 환급이 가능해집니다.

서울 시내에서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사람(월 41회 이상)의 경우 기후동행카드의 혜택이 클 수 있지만 경기, 인천 등 서울 외 지역으로의 대중교통 이용이 잦은 서울 시민이라면 K패스 계열 카드의 혜택이 더 클 수 있습니다.

K패스의 등장으로 대중교통 이용자들은 보다 경제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 더욱 다양하고 혜택이 좋은 교통카드가 출시되어,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댓글